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[회계]연결회계 주의사항, 연결회계 회계기준, K-IFRS

by 엠제이21 2025. 3. 25.
728x90
반응형

연결회계 주의사항 안내드릴게요! 📊

📌 연결회계의 기본 원칙

  1. 그룹 차원 시각 확보
    • 연결재무제표는 '그룹 전체'를 단일 경제개체로 보는 개념이에요
    • 각 법인의 재무제표를 먼저 작성한 후 통합해요
  2. 내부거래 철저 제거
    • 그룹사 간 상품/자본 거래는 전체 그룹 관점에서 취소해요
    • 예시: A사(그룹사)가 B사(그룹사)에 10억원 판매 시 → 연결재무제표에서는 해당 거래 삭제
  3. 지배력 기준 명확화
    • 일반적으로 통제권 존재 시 연결 대상 ✅ 보통주 50% 이상 보유 ✅ 이사회 구성원 다수 임명권 ✅ 주요 사업결정 권한

⚠️ 주의해야 할 3가지

  1. 과도한 확대 인식 방지
    • 단순 주요 지분 보유(예: 20%)만으로는 연결 불가
    • 실제 경영참여 여부를 종합적으로 판단
  2. 법적 규제 준수
    • 한국: 외환법 제182조(연결재무제표작성의무)
    • 미국: SEC Regulation S-X Rule 3-11
  3. 공정가치 평가
    • 연결 시 자산/부채 공정가치로 전환
    • 그룹사 간 거래시 시장가격 적용 원칙

💡 실무 적용 팁

  • 연결 재무제표 작성 단계
    1. 개별 재무제표 작성
    2. 지배력 평가
    3. 내부거래 제거
    4. 공정가치 조정
    5. 최종 연결
  • 특수 상황 예시 A사(그룹사)가 B사(그룹사)에 5억원 대출 → 연결재무제표에서는 B사의 부채 증가와 A사의 자산 감소 효과를 모두 제거

연결재무제표 작성 시 주의해야 할 주요 회계 기준 📊

1️⃣ 지배력 기준 명확화 (K-IFRS 제11편)

  • 통제권 존재 여부가 연결 핵심이에요
    • 예시: A사(그룹사)가 B사(그룹사)의 보통주 55% 보유 + 이사회 구성원 3명 중 2명 임명권 → B사는 연결 대상
    • 단순 중요 지분 보유(예: 20%)만으로는 연결 불가

2️⃣ 내부거래 철저 제거 (K-IFRS 11-15)

  • 그룹사 간 거래는 전체 그룹 관점에서 취소 처리해야 해요
    • 실제 사례: C사(그룹사)가 D사(그룹사)에 10억원 대출 → 연결재무제표에서는 양측 항목을 모두 삭제
    • 주의: 금융기관 대출처럼 외부와의 거래는 정상 유지

3️⃣ 공정가치 평가 원칙 (K-IFRS 11-34)

  • 연결 시 공정가치로 전환 필수
    • 예시: E사(그룹사)의 토지(장부가치 5억원)가 시장가치 8억원 → 연결재무제표에서는 8억원으로 재고

4️⃣ 연결 범위 결정 (K-IFRS 11-4)

  • 실질적 영향력 기준 적용
    • 예시: F사(그룹사)가 G사(그룹사)의 40% 지분 보유 + 주요 사업계약 체결권 → G사는 연결 대상

💡 실무 적용 팁

  1. 단계별 작성 방식
    • ① 개별 법인 재무제표 작성
    • ② 지배력 평가 → 연결 대상 법인 선정
    • ③ 내부거래 제거
    • ④ 공정가치 조정
    • ⑤ 최종 연결
  2. 자주 틀리는 부분
    •  오류 사례: 단순 지분 30% 보유만으로 연결
    •  혼동하기 쉬운 사항: 연결재무제표 ≠ 다수 법인 운영 비용 합계

 

K-IFRS(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) 제11편 '연결재무제표'와 제12편 '투자회사 재무제표'가 관련되어 있을까요?

📌 두 기준의 기본 차이점

  1. 제11편 연결재무제표
    • 그룹 전체를 단일 경제개체로 보고하는 재무제표예요
    • 주로 통제권(예: 50% 이상 지분 보유) 관계를 기준으로 연결해요
    • 내부거래 제거 ▶️ 그룹사 간 거래는 전체 그룹 관점에서 취소 처리
  2. 제12편 투자회사 재무제표
    • 투자회사가 다른 회사에 투자한 경우를 다뤄요
    • 주로 중요 지분 보유(예: 20~50%) 시 적용되며, 공정가치 평가 원칙을 사용해요
    • 투자회사가 통제권을 가지지 못하는 상황이라면 연결재무제표 적용 X

🔗 관련성 발생 조건

다음 3가지 경우에서 두 기준이 함께 적용될 수 있어요:

  1. 그룹 내 투자회사 존재 시
    • 예시: A그룹의 B회사가 C회사(외부)에 30% 투자 → B회사는 제12편 적용 + A그룹 전체 재무제표(제11편)에 포함
  2. 연결범위 확장 시
    • 투자회사가 외부 회사에 통제권 보유 시 → 해당 투자회사의 투자자산은 연결재무제표에 포함
  3. 공정가치 평가 기준 일관성
    • 연결재무제표 작성 시 투자자산도 공정가치로 평가해야 하며(제11편), 이때 제12편의 평가방식이 참고됨

💡 실제 적용 사례

A사(그룹사)가 B사(외부)에 40% 투자한 경우:

  • 제12편 적용: A사는 B사에 대한 투자자산을 공정가치로 기록
  • 제11편 적용: A사가 B사에 통제권을 가진다면 → B사의 전체 재무제표를 연결

핵심 구분점: 통제권 유무에 따라 연결재무제표 포함 여부가 결정돼요!

 
728x90
반응형